UPDATED. 2024-04-19 12:35 (금)
캐나다의 테이퍼링 돌입, 미국도?
상태바
캐나다의 테이퍼링 돌입, 미국도?
  • 유한나 소비자기자
  • 승인 2021.05.04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7국 중 처음으로 물가 회복 경향성에 따른 긴축 정책 발동 거나
미국 연준의 긴축 정책 실시 예상 증가와 함께 국내 안정화 장치 마련 필요

[소비라이프/유한나 소비자기자] 캐나다의 중앙은행이 G7 가운데 처음으로 테이퍼링을 실시하면서 한국은 이에 따른 미국의 긴축 기조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출처 : pixabay
출처 : pixabay

캐나다는 4월부터 국채의 순매수 액수를 40억 캐나다 달러에서 30억 캐나다 달러로 낮춘다고 발표했다. 캐나다의 테이퍼링 실시는 경제가 반등하고 회복함에 따라 이제 양적 완화 프로그램의 시행을 축소하고 긴축 정책을 시작할 것이라는 예고로 보인다. 테이퍼링은 채권이나 타 자산을 매입함으로써 돈의 흐름을 활성화하는 경기 부양 정책 축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캐나다의 중앙은행은 자국의 경제 성장률을 4%에서 6.5%로 상향 조정하는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캐나다는 현재 0.25%로 유지되고 있는 기준 금리를 동결하겠지만, 경제 회복이 명시적으로 확인된다면 내년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위 상황을 두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걱정하고 우려했던 긴축 상황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가장 주목받는 것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반응이다. 미국 증시의 주가 하락이 확인된 시점에서 캐나다의 테이퍼링 실시를 보고 미국도 테이퍼링을 실시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올리면 한국 기준 금리도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금리 기조는 미국의 금리 인상 여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금리가 상승할 경우, 우리나라 국채의 경쟁력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또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부채가 많은 현 상황에서 금리가 오른다면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해서 금리를 하락시켰기 때문이다.

외국인 투자 자본 유출의 문제점도 지적된다. 금리가 인상된다면 대출 등의 방법으로 자본 투자를 하는 이들의 부담이 커져 자본이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금리 인상으로 미국의 달러 강세가 이어지기 때문에 원화의 통화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이 양적 완화를 축소하게 된다면 우리나라도 기준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미국에서 긴축 정책을 실시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말하며 달러화 강세가 급격하게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즉 강세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 생활 물가 수준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 폭이 큰 상황을 확인했을 때 긴축 정책을 실시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지난 3월 이미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테이퍼링의 가능성이 없다며 확실히 선을 그은 바 있다. 이를 통해 주식 시장 등에 자금 관련 충분한 부담이 있는 상황에서, 물가상승이 이루어지더라도 쉽게 금리 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코로나19가 쉽게 잡히지 않는 상황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소비자들에게 백신 접종에 대한 기대감은 보복 소비를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예측도 쉽게 가능하다. 현금 유동성이 높아지면서 급격한 소비 증가가 일어나면 인플레이션 우려는 따라올 수밖에 없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확진자 추세가 꺾이지 않았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긴축 정책은 시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국 대형 기술주와 같은 종목 투자자들은 주가가 한껏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금리 상승이 이루어졌을 때 주가가 민감하게 변동하는 상황을 예상하고 대처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동산 관련 이슈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4,000조를 돌파했고 OECD 국가 중 최대 상승세를 보인다는 발표가 있을 만큼 현재 부채 부담은 과중하다. 이러한 시기에 급격한 긴축 정책이 시행된다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질 것이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