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1:51 (목)
빠르게 성장하는 무알코올 시장, 소비자 건강엔 악영향 끼쳐…
상태바
빠르게 성장하는 무알코올 시장, 소비자 건강엔 악영향 끼쳐…
  • 황보도경 소비자기자
  • 승인 2021.01.26 1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무알코올 시장 급성장, 이에 주류업계 잇따라 도수 낮춰
그러나 탄수화물·당류 등은 여전히 많아 건강에 적신호

[소비라이프/황보도경 소비자기자] 코로나19로 인해 무알코올 맥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다른 주류들도 도수를 낮추고 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소비자들의 건강이 더 악화될 수 있어 화제다.

출처 : pixabay
출처 : pixabay

최근 한국의 무알코올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다. 2016년 100억 원이던 무알코올 음료 시장은 2019년 기준 150억 원으로 성장했고, 2024년에는 170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을 보이고 있다. 시장이 커지자 주요 맥주 브랜드들도 무알코올 맥주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OB맥주와 칭따오, 골든블루는 지난해 각각 ‘카스 0.0’과 ‘칭따오 논알콜릭’, ‘칼스버그 0.0’ 등 비알코올 맥주를 출시했으며, 하이트진로음료와 롯데칠성음료도 기존 무알코올 맥주 제품인 ‘하이트 제로’와 ‘클라우드 클리어 제로’를 전면 개편해 재출시했다.

이에 소주, 와인 등의 다른 주류들도 잇따라 도수를 낮추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최근 ‘부드러운 처음처럼’의 도수를 16.5도로 낮춰 새로 출시했다. 하이트진로 매실주 브랜드인 ‘매화수’도 기존 14도에서 12도로 도수를 낮추는 등 전체적인 소주 시장의 도수가 1960년대 35도에서 점차 낮아지며 최근 16.9도의 벽도 깨는 중이다.

위스키도 마찬가지다. 골든블루 사피루스의 도수는 36.5도로, 위스키의 도수가 대개 40도를 넘어가는 점을 고려하면 낮은 편이다. 세계적인 와인 업체들인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등에서도 무알코올류 와인을 출시했다.

이렇게 무알코올 시장이 커지고, 다른 주류들도 잇따라 도수를 낮추는 이유는 코로나19 때문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혼술(혼자 마시는 술),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 등이 증가했는데, 이러한 면에서 무알코올류는 주류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에서도 살 수 있어 적합하다. 게다가 무알코올이기 때문에 주세법 적용이 되지 않아 가격도 30% 이상 저렴하다.

그러나 무알코올이라 해서 마음 놓고 마셔도 되는 건 아니다. 무알코올 음료가 알코올 0%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국내 주세법상 무알코올 음료는 알코올 함량이 1% 미만인 음료를 말하며 이중 알코올이 전혀 없으면 무알코올, 1% 미만일 경우 비알코올로 구분된다.

또한, 무알코올 맥주라고 탄수화물까지 없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탄수화물도 단순당처럼 혈당을 올리기 때문에 특히 술을 피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은 더 유의해야 한다. 한 내과 전문의는 "알코올이 없어도 탄수화물로 당분을 만들어내는 건 같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게다가 무알코올 맥주는 알코올 함량을 낮춘 대신 당류를 첨가해 맛을 낸다. 조선일보에서 시중에 팔고 있는 무알코올 맥주 중 하이트진로 ‘하이트 제로’, OB맥주 ‘카스 0.0’, 롯데칠성음료 ‘클라우드 클리어 제로’를 조사한 결과, 1캔에 최대 8g의 당류가 들어있음이 밝혀졌다. 3캔만 마셔도 하루 최대 당 섭취량인 25g을 충족하는 것이다.

특히 무알코올 맥주는 소비자 입장에서 안심하고 마시기 때문에 더 많이 섭취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순하리’, ‘자몽에 이슬’ 등 순한 과일 맛 소주가 유행이던 2015년에 한국소비자연맹이 27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펼친 설문조사 결과, 약 40%가 ‘중저도수 소주를 마시면서 음주량이 늘었다’라고 답했다.

이처럼 저도수 소주 때문에 술값 지출이 늘고, 음주 시간이 길어지며 숙취로 건강상 문제가 생길 때가 많다. 게다가 음주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자극적인 안주 소비도 증가해 더 문제다. 일부 소비자들은 알코올을 소량 마시는 것이 오히려 당뇨병 위험을 줄인다는 ‘J 커브 이론’을 믿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외국 사례를 연구한 것이기에 우리나라 상황에 맞추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