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공공자전거 사업 접는 지자체... 타면 탈수록 적자
상태바
공공자전거 사업 접는 지자체... 타면 탈수록 적자
  • 옥민지 소비자기자
  • 승인 2021.10.08 1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공유자전거 등장, 공공자전거 인기 하락
감당할 수 없이 급등하는 자전거 유지비
공공자전거 사업에 비상등이 켜졌다/출처=대전광역시시설관리공단
공공자전거 사업에 비상등이 켜졌다/출처=대전광역시시설관리공단

[소비라이프/옥민지소비자기자] 따릉이, 타슈, 타랑께, 타고가야, 누비자 등 각 지역의 특색을 담은 이름과 함께 도입했던 공공자전거가 해체 위기에 놓였다.

행정안전부가 제공한 공영자전거 운영 현황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공공자전거를 운영 중인 지자체는 69곳으로 79곳이었던 2018년 대비 10곳이 감소했다.

안산시는 오는 12월 31일 자로 ‘페달로’ 사업을 종료하기로 했으며, 고양시는 지난 6월 1일을 끝으로 ‘피프틴’ 사업을 종료했다. 서울시가 ‘따릉이’ 사업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지만, 1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지고있는 상황이다.

공공자전거 사업이 내리막길에 들어선 이유는 민간사업자가 제공하는 자전거의 등장과 부담스러운 유지비에 있다. 

공공자전거는 정해진 장소에서만 대여가 가능하지만 민간사업자가 제공하는 공공자전거는 정해진 반납 거치대가 없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아 이용자들이 선호한다.

또 노후화로 인해 자전거 운행 대수를 줄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특정 장소에 편중된 자전거를 트럭을 통해 재배치하는데 드는 비용 등 적자가 거듭되고 있다. 

지자체들이 하나 둘 사업을 철수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시민의 이익을 위해서라도 적자가 나더라도 공공자전거를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공공자전거는 카카오 바이크와 같은 민간 자전거에 비해 이용료가 싸고, 교통체증, 대기오염, 高유가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공공자전거 운영을 지속하되 적자를 막을 방안을 찾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 행정안전부에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을 건의해 현재 택시, 버스, 지하철 등에 가능한 유료 광고를 공공자전거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시행령이 개정될 경우 공공자전거 이용자가 주로 2~30대임을 고려한 광고가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공공사업 운영 적자를 줄여나가겠다는 의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