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서울 평당 1억 원 넘는 아파트 단지 역대 최다 기록
상태바
서울 평당 1억 원 넘는 아파트 단지 역대 최다 기록
  • 이나현 기자
  • 승인 2020.09.15 13: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강도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고공행진 중인 집값
지방 보단 서울에 ‘똘똘한 한 채’ 선호

[소비라이프/이나현 기자] 평당 1억 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된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오늘(15일), 경제만랩(부동산정보제공업체)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올해 초부터 9월 14일까지 집계된 자료를 조사한 결과, 평당 1억 원 이상에 매매된 아파트 단지는 52곳(중복 아파트 제외)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기간 중 평당 실거래 가격이 가장 비싼 아파트 단지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였다. 해당 아파트 단지는 2017년부터 4년째 평당 최고가에 매매되고 있다. 지난 3월 4일, 17평(56.57㎡) 면적의 집이 30억 9,500만 원에 매매된 바 있다. 환산하면 평당 1억 8,086만 원에 거래된 셈이다.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는 현재 재건축이 진행 중이다. 입주 후 넓은 주택형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가 가격상승을 불러온 것으로 분석된다. 이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한 경쟁도 치열했다. 평균 22.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올해 7월 평당 4,750만 원에 일반분양으로 모든 주택형의 청약이 마감됐다.

매매가 상승은 해당 아파트만의 문제는 아니다. 재건축이 아닌 일반아파트 임에도 불구하고 평당 1억 3천만 원대에 매매된 아파트들도 많았다.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아크로리버파크는 평당 1억 3,893만원(동일 단지 최고가 기준), 강남구 대치동의 래미안대치팰리스는 평당 1억 3,777만 원, 송파구 잠실동의 리센츠는 평당 1억 3,734만원, 서초구 반포동의 래미안퍼스티지는 평당 1억 3,358만 원, 성동구 성수동1가의 트리마제는 평당 1억 3천 52만원에 거래되었다. 대형 면적 아파트도 예외는 아니었다. 지난달 13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아크로 리버파크는 39평 아파트가 48억 5,000만 원에 매매되며, 평당 1억 2,000만 원을 넘어섰다.

출처 : pixabay
출처 : pixabay

이에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의 실효성에도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고강도 부동산 규제로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종합부동산세·양도소득세를 강화한 바 있다. 2주택 이상 보유자는 8∼12%의 취득세율을, 3주택 이상 보유자는 1.2∼6.0%의 종부세율을, 2년 미만 보유 주택(분양권 포함)을 팔 때는 60∼70%의 양도세율을 부담해야 하게 되었다.

그러나 부동산 규제가 나온 6∼8월 평당 매매가 상위 10위 안에 든 단지들(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를 제외)의 거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나며 논란이 되고 있다. 주택구입부담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분기 49.7이었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분기 52.1로 상승했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증가세가 도드라졌다. 서울은 전분기(132.2) 보다 10포인트 이상 증가한 142.8, 경기도는 전분기(61.9) 보다 6.9포인트 증가한 68.8를 기록했다. 반면, 제주지역만 유일하게 66.6에서 64.5로 하락했다.

한 부동산투자 전문가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외지 수요가 사라지면서 지방에는 실수요밖에 남지 않았다고 이야기했다. 덧붙여 수요가 높은 지역의 신축 아파트와 중소도시 등 간의 격차가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부동산 규제가 오히려 지방 중소도시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또 다른 경제전문가는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로 다주택자들이 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거 선호도가 높은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오히려 서울시내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조사결과, 정부가 6·17대책에서 법인의 세금 부담을 늘린 이후, 전국의 법인 매물은 5월 4,935건에서 6월 6,193건에서 7월 8,278건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서울의 집값하락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서울의 법인 매물 증가폭은 5월 36건에서 7월 306건으로 작은 폭에서 그쳤다. 결국 정부의 조치는 지방 중소도시의 집값 하락에 그쳤다.

정부의 6·17 대책과 7·10 대책이 기대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서민들의 주택마련 부담을 줄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