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5-01 15:24 (수)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 해법은 교육이다
상태바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 해법은 교육이다
  • 김대원 소비자기자
  • 승인 2019.07.14 2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인층에 특화된 신산업 분야 기술교육, 생산력 진전은 물론 소비진작의 근원으로 작용할 가능성 높아..
사진: Pixabay
사진: Pixabay

[소비라이프/김대원 소비자 기자] 한국 사회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중이라는 분석이 나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00년대 이후부터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사회 구성원 가운데 노인인구 비율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고, 2년 전인 2017년에는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 사회'로 접어들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앞으로 6년 뒤인 2025년에는 사회 전체 구성원 중에서 노인인구가 20% 이상을 넘어서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고령화가 급격화 될수록 사회 전반적으로 노동력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생산력이 감소하게 되면서 소비 또한 줄어들게 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비록 노인들이 젊은 청년들에 비해 사회적으로 겪어 본 경험이 풍부하여 사고와 판단 능력이 우수한 면이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노인들의 체력적인 면이 청년들보다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측면에서 생산력을 증대시켜야 할 기업의 입장에서는 무턱대고 노인들을 직원으로 고용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고 해서 노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고령화 시대를 대처할 것이냐? 그것도 물론 불가능에 가깝다.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고령화는 국가 지출을 증가시키는 반면, 국가 수입은 감소시켜 재정에 상당한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격히 진행되는 고령화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노인들에 대한 신(新)산업 분야 기술교육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급격하게 진행되는 고령화 만큼 신산업의 발전 속도도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의 구성원 중 하나인 노인들도 결국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게 신산업 분야에 걸맞은 기술을 터득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노인들의 신(新)기술 습득력이 청년들보다 다소 뒤쳐진다는 점은 사실이다. 현재 노인들이 스마트폰을 다루는 데 있어서 청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숙함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노인들의 새로운 기술 습득력이 젊은층보다 뒤처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노인층에 특화된 방향으로 신산업 기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필요가 시급해 보인다. 학습력이 다소 낮다고 해서 새로운 교육을 방치한다면, 이것은 향후 발전하는 시대에 새로운 문맹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국가적으로 치명타를 입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과거 우리나라의 사례를 보면 일제로부터 광복을 맞이한 직후 당시 국내의 문맹률은 78%에 달했지만, 문맹 퇴치 운동을 전개해 나가면서 3년 뒤인 1948년도에는 문맹률이 40% 정도 가량으로 떨어지는 효과를 달성했던 바가 있다. 노인층에 특화된 신산업 기술교육도 이와 다르지 않다. 현재 상당수의 노인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 놓여있다. 초고령 사회로 접어드는 2025년까지 이러한 양상이 지속될 경우 청년층과 노인층 간 발생하는 '지식의 양극화'로 인해 빈부 격차가 커지는 것은 물론이요, 전반적인 국가 경쟁력도 큰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초고령사회' 시대를 제대로 대처하는 방법은 현재 신산업 기술 분야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노인들에 특화된 교육이다. 특화된 교육으로 노인들이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게 된다면 노동공급감소나 재정부담 문제를 해결하는 길로 작용하게 됨과 동시에 생산력과 소비를 증진시켜 경제적 리스크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의 이지원 과장과 이상아 조사역은 "고령층이 건강을 유지하면서 알맞은 일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고령화사회에 닥칠 노동공급 감소나 재정부담 증가 같은 문제를 덜 수 있다."면서 노인들에 대한 신산업 기술 특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