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사업
상태바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사업
  • 고혜란 기자
  • 승인 2014.03.10 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 참여율·만족도 높아 성공적”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사업이 지난해 5월 서울시·대구시 등 6개 광역시·도에 시범 도입된 이후 이용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013년도 무상 방문수거사업’은 환경부가 6개 광역자치단체 및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와 공동으로 실시한 사업으로, 소비자가 온라인이나 콜센터를 통해 TV·냉장고·세탁기 등 고장난 대형가전제품의 배출을 예약하면 수거전담반이 가정에 방문해 무료로 수거해 재활용하는 제도다.

국민 불편해소·환경보전·경제성장 1석3조
종전에는 폐가전제품을 버리려면 관할 지자체에서 최저 3,000원에서 최대 1만5,000원의 배출스티커를 구입해야 했다. 그런 뒤 다시 이를 부착해 집 밖까지 내놓아야 하는 등 국민들의 불편이 컸다.
또한 일부업자들이 수거한 폐가전제품을 재활용센터로 전달하지 않고, 희귀금속이 포함된 일부 핵심부품만 불법적으로 빼내어 판매하거나 해외로 반출되는 등 자원유출 및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했다.
이에 환경부는 국민불편 해소와 수거·재활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12년 6월 서울시에 한해 무상 방문수거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에 지난해 5월 대구·대전·부산·광주광역시 및 경기도가 참여함으로써 사업이 확대됐다.

국민 배출수수료 21억원 절감
지난달 7일, 환경부는 이 무상방문수거 사업을 통해 지난해 동안 냉장고·세탁기 등 총 16만 2,000여대(중량기준 7,457톤)의 폐가전제품을 수거했으며, 콜센터 등 예약접수 건수는 총 12만 7,000여건, 이용에 따른 국민의 배출수수료(배출스티커) 절감분은 약 21억 원 가량으로 산정된다고 밝혔다.
또한, 2013년도 폐가전제품 수거량을 자원 재활용 및 폐기물 매립 대체 비용 등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할 경우 약 147억 원에 달하며, 그 외에도 수거전담반 및 콜센터 등 신규일자리 50명 창출, 온실가스 감축량은 약 2만 5,000톤CO2에 이를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 콜센터에서 지난해 무상 방문수거사업 이용자 총 8,601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를 실시한 결과 99.6%(8,566명)가 이번 사업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올해 전국으로 확대 예정

수거실적은 지자체별로 서울시 9만 1,174대(56%), 부산시 3만 231대(19%), 대구시 1만 7,616대(11%), 경기도 1만 1,221대(7%), 대전시 6,752대(4%), 광주시 5,611대(3%) 순이었으며, 품목별로는 TV 6만 9,444대(42%), 냉장고 4만 5,106대(28%), 세탁기 1만 928대(7%) 등이 포함됐다.
방문수거실적을 2012년도 지자체 회수실적과 비교한 결과, 지자체별로도 약 1.5배∼6배 가량 회수실적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경부는 무상 방문수거사업이 점차 국가 재활용목표의 달성(전기·전자제품 1인당 재활용 목표: 3.9Kg(2014년) → 6.0kg(2018년)로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으며, 올해 폐가전제품 수거량은 33만대(1만 5,000톤), 배출수수료 40억 원, 경제적 편익 300억 원의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환경부는 이같이 큰 호응과 실적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부터는 모든 지자체에서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