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금융의 질풍노도] 금리 역전 코앞인데
상태바
[금융의 질풍노도] 금리 역전 코앞인데
  • 이강희 칼럼니스트
  • 승인 2022.07.12 0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라이프/이강희 칼럼니스트] 요즘 뉴스에서는 걸음걸이에 대한 보도가 많다. 사람의 걸음걸이가 아닌 금리인상의 폭을 말하는 ‘스텝’은 물가와 연계되다보니 경제 뉴스 외에도 우리 일상의 여러 곳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 

정도에 따라 베이비 스텝(0.25%p), 빅 스텝(0.5%p), 점보 스텝(0.5%p 두 번 이상 연속 인상), 자이언트 스텝(0.75%p), 울트라 자이언트 스텝(1.0%p 이상, 이하 울트라 스텝) 등이다. 그 중에서 빅 스텝과 자이언트스텝, 최근에는 울트라스텝이 주로 언급되고 있다. 

금리를 결정하는 기관은 여러 나라의 중앙은행이지만 그중에서 가장 힘이 센 곳은 미국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가 결정하는 금리에 따라 모든 나라의 금리가 순차적으로 움직인다. 

6월 금리인상여부를 결정할 연준을 앞두고 5월부터 많은 예측이 오갔다. 2022년 FOMC의 세 번째 회의가 있었던 5월 3~4일 이후 치솟는 물가를 잡기위해 다음 회의에서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연일 보도가 이어지면서 금리인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뉴스는 유가인상과 각종 원자재의 가격이 인상되었다고 보도했다. 치솟는 물가로 가계의 장바구니는 가벼워졌고 비행기의 왕복표는 두 배 이상 올라 웬만한 자동차 한 대 값에 육박하고 있다고 전한다. 때마침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밀농사가 제 때 되지 않아 곡물 가격 인상을 언급하면서 곡물이 사료가격에까지 영향을 미쳐 사료를 먹는 육류 가격도 인상되면서 전반적인 소비자물가가 연동돼 오를 것이란 예측이 쏟아졌다. 
 
이런 분위기에 탄력을 받은 연준은 기어이 기준금리를 0.75%p로 인상했다. 5월부터 제기되었던 ‘빅 스텝(0.5%p)’보다 한 걸음 더 나간 결정이었다. 연준이 ‘자이언트 스텝(0.75%p)’을 결정한 것은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일이라 시장에서는 충격으로 받아들였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네 번째 회의를 마친 직후 15일(현지시간)에 ‘연방기금의 금리 목표를 1.5~1.75%까지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후 전 세계 금융시장은 금리인상으로 파급되는 크고 작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가는 더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 주가는 2400대(코스피 기준)에서 2300대로 주저앉았다. 1% 내외로 움직이던 등락폭도 1~2%로 확대되면서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한 심리를 그대로 반영했다.     
 
그럼에도 물가상승에 대한 압력이 줄지 않고 계속되자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금리인상에 대한 보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이목은 이달 27일 연준에 쏠리고 있다. 현지기준 7월 26일~27일 사이에 열릴 FOMC 다섯 번째 회의에서 또다시 금리를 인상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언론에서는 시장이 금리인상을 요구한다는 듯한 내용의 기사를 쏟아내며 추가적인 인상을 유도하고 있다. 의장을 맡고 있는 제롬 파월(이하 파월)은 7월에 0.75%p를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었다. 7월에 자이언트 스텝(0.75%P) 가능성을 언급하며 연 최대 금리를 3.5%까지 인상할 것을 예상하고 있다. 현실화 된다면 우리와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금리가 역전되면 안전선호도가 높은 외국계 자본의 경우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환율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자본유출과 더불어 주식시장의 하락으로 이어져 금융시장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달러가치의 상승과 원화가치의 하락을 불러와서 수출 기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무엇보다 물가상승 압력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원화가치의 하락으로 수입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쌀 이외의 대부분의 농산물을 수입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물가상승 압력은 좀 더 증가할 수밖에 없다. 

우리도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물가안정을 위해 통화와 금리를 조절하는 한국은행의 대처뿐만 아니라 금융정책을 통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대응도 필요하다. 이미 EU는 긴장하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약한 고리로 지적되던 나라들 중에는 이미 IMF의 지원금을 받아들인 나라도 있다. 발 빠른 시장대응을 하지 못한다고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다시 겪지 않겠지만 우리나라의 약한 고리인 가계에 속한 국민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정부당국은 긴장을 끈을 놓지 말고 대비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