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금융의 질풍노도] 물가는 또 다른 격차를 만든다
상태바
[금융의 질풍노도] 물가는 또 다른 격차를 만든다
  • 이강희 칼럼니스트
  • 승인 2022.02.03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라이프/이강희 칼럼니트스] 가치의 격을 매기는 것을 가격이라고 한다면 가격을 물건이나 재화에 적용시키는 것을 ‘물가(物價)’라고 한다. 물가는 어떻게 결정될까? 일반적으로 돈이 많이 풀리면 상대적으로 물건의 가치가 높아져 물가가 오른다고 알고 있다. 그렇다고 무조건 물가가 오르지는 않는다. 설사 물가가 올랐다고 하더라도 소비가 없다면 물가는 내려갈 수도 있다.  

결국 물가가 오르고 내리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소비다. 소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머니를 채울 소득이 있어야하므로 기업이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는 금융적인 지원을 포함한 여러 가지 사업을 추진한다.  

생활에 적용되는 물가가 자산시장에서는 빈부의 격차를 더 벌리는 작용을 한다. 물가는 물건의 가격뿐만 아니라 부동산과 같은 자산의 가격이 결정되는 데에도 영향을 준다. 물가는 자산의 가격에 정비례한다. 

이는 물가가 오를수록 현금의 가치가 하락하고 자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어서다. 즉, 물가가 오르면 자산이 많은 부자는 보유한 자산의 가격이 더욱 증가하지만 보유한 것이 은행의 잔고나 현금 밖에 없는 경우에는 물가가 오를수록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빈자는 더욱 가난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가상승기에 정부는 일정부분 시장에 개입해 물가를 낮추기 위한 조치를 시행한다.

하지만 원만히 해결 되지 못할 경우 계층 간 갈등을 불러올 수도 있다. 이런 격차가 가장 크다고 알려진 미국의 경우 정기적으로 갈등이 표면화되어 언론에 보도되기도 한다. 폭행과 살인, 약탈, 방화 같은 범죄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일들을 언론에선 인종갈등으로 몰아가지만 그 근원에는 인종간의 갈등보다 더 깊은 경제적인 격차가 내재되어있다. ‘삶의 질’의 격차가 사회적 반목으로 이어져 사람들의 화합을 저해하고 갈등과 혼란을 유발한다.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으려면 안정적인 물가를 유지해야 한다. 금리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간단히 금리만 올린다고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자칫 경제성장이 뒷받침 되지 않는 금리 인상은 시장에 더 큰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어 속도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카터행정부와 레이건행정부 때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을 맡았던 폴 아돌프 볼커 주니어(Paul Adolph Volcker Jr.)에 의해 이미 증명되었다. 
 
최대 21.5%까지 올려놓은 금리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잡히기는 했지만 대출이 많은 기업을 시작으로 부도와 파산이 이어졌다. 실업자가 뒤따랐다. 금리가 높다 보니 상장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은 체질개선으로 오랜 시간동안 안정된 성장기를 누릴 수 있었지만 그로인한 과실은 살아남은 소수의 회사들과 부자들에게만 주어졌고 중소기업과 근로자들은 회생할 수 없었다. 속도조절에 실패한 고금리 폐해는 지금까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산층의 몰락을 가져오고야 말았다. 

오늘날 유례없는 유동성 파티로 전 세계 물가가 높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 재정적인 안정과 갈등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재정 정책을 포함해 금융권을 포함한 포괄적인 대응 안을 내놓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