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영국 - 건강·지역경제 위해 ‘지역 장터’ 애용
상태바
영국 - 건강·지역경제 위해 ‘지역 장터’ 애용
  • 소비라이프뉴스
  • 승인 2009.04.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엔 의·식·주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으뜸은 먹을거리가 아닐 수 없다. 옛말에도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꿩 먹고, 알 먹고’ ‘먹은 소가 똥을 누지’ ‘먹는 떡에도 살을 박으라 한다’ ‘먹은 통으로 알고 덤빈다’ 등과 같은 속담이 있다. ‘밥이 보약이다’ ‘먹고 죽은 귀신이 때깔도 좋다’ ‘먹는 것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와 같은 먹거리와 관련된 말이 많은 것을 보면 선조 대대로 먹을거리에 큰 의미를 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은 흘렀고 세월은 변했다. 여기저기서 흘러들어온 정체불명의 음식들이 우리의 먹거리문화를 어지럽히고 있는 것은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정크(Junk)는 ‘쓰레기’란 뜻

햄버거, 피자, 라면, 소시지 등 우리가 즐겨 먹는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들이 건강에 나쁘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 음식은 어떤 먹거리보다 달콤하고 우리들 입맛을 자극하며 끊임없이 유혹한다. 그렇다면 이들이 왜 정크 푸드(Junk Food)라 불리며 ‘형편없는 음식’으로 취급되고 있을까.

정크(Junk)는 쓰레기란 뜻을 담고 있는 단어다. 정크 푸드는 일명 ‘쓰레기 같은’ 식품을 일컫는다.

사람 몸에 필요한 비타민, 섬유질, 미네랄 등은 거의 없고 설탕덩어리, 소금덩어리의 열량만 지나치게 높아 비만의 주범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식품류에 들어있는 지방과 인공첨가물은 성인병을 부른다. 철분 흡수를 방해해 빈혈을 일으키기 십상이다.

정크 푸드 속에 들어있는 알 수 없는 화학물질들이 흥분제 역할을 해 사람의 정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해 식품영양학자들은 이 음식들을 ‘정크 푸드’라 부르기 시작했다.

정크 푸드 중 끊임없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중 당연 1위는 햄버거다. 햄버거는 두툼한 빵과 야채, 무엇 보다도 맛이 좋아 보이는 고기 패티가 들어있어 한 끼 식사로도 손색없어 보이는 햄버거.

그렇기에 현대인들은 손에 쥐고 빨리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햄버거를 식사대용으로 주저 없이 선택했다.

사람들은 점차 햄버거에 중독돼 갔다. 햄버거를 둘러싼 각종 루머와 지저분한 이야기들도 따라다니기 시작했다.

이는 패스트푸드업체의 일급비밀, 패티의 성분을 어느 누구도 정확히 알지 못한다. 버거킹의 지난해 보도자료에 따르면 “세계매장에서 100% 순 쇠고기햄버거를 팔고 있다. 건강한 소를 잡아 최고급 부위만을 떼어내 만든 100% 순 쇠고기햄버거다”고 적어놓고 있다. 또 지난해 광우병파동 때 한국맥도날드 쪽을 비롯, 맥도날드사에서도 “100% 쇠고기를 사용, 패티를 만들고 있다”고 당당히 밝힌 바 있다.

이는 두 회사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햄버거를 파는 모든 업체에서 100% 순 고기만을 패티로 쓴다고 하지만 기본적으로 우지방(소 기름)이 10%이상 들어가지 않으면 푸석푸석해져서 모양을 낼 수 없다는 발표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게다가 고기의 질이 문제가 아니라 살코기를 갈아 다지고 뭉친 뒤 입맛을 당기는 인공감미료를 잔뜩 친 패티가 판치고 있다는 게 더욱 문제다.

영국, 정크 푸드에 적극 대처

1. 두뇌 음식(Food For the Brain) 캠페인

영국 서리대학교(University of Surrey)의 닐 워드(Neal Word)교수가 1980년대부터 정크 푸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특정한 인공착색료 섭취 뒤 30분 안에 사람은, 특히 아이들은 아주 쉽게 공격적이고 폭력적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인공착색료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불러들이기 시작하는 주범이다. 인공감미료와 인공착색료가 뇌를 손상시킨다는 끔찍한 연구결과 또한 끌어냈다. 광우병 사태 후 10년이 넘게 음식이 사람의 두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해온 프로젝트가 있다. 이는 바로 ‘두뇌 음식(Food For the Brain)’ 프로젝트다. 이 캠페인을 이끌고 있는 패트릭 홀포드(Food For the Brain 회장) 박사가 말하는 두뇌음식은 다음과 같다.

“뇌가 최상의 컨디션으로 활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모든 음식으로 뇌의 연료가 되는 견과류를 많이 먹어야 하며 뇌세포의 의사소통을 돕는 데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필요하다. 브로콜리에 들어있는 염산은 세포간의 정보전달에 필수다.

염산은 집중력과 기억력을 좋아지게 한다. 우리 뇌의 78%가 수분으로 이뤄져 있어 정크 푸드의 과다섭취는 뇌의 탈수를 가져오고 뇌기능을 떨어뜨린다.”

2. 학교급식(Food in School) 프로젝트

영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요리사 중 한 명이자 ‘천재 요리사’라 불리는 제이미 올리버가 2006년 초등학생 급식에서 대부분 인스턴트음식이 쓰이는 현실을 고치겠다고 발 벗고 나선 적 있다.

그는 학교급식에서 정크 푸드를 몰아내고 열악한 급식재정에서 건강한 음식의 보급을 위해 ‘나를 더 잘 먹여주세요(Feed Me Better)’란 슬로건을 걸고 초등학교에 가서 아이들과 부딪히며 메뉴를 짜기도 했다. 그리고 그는 당당하게 토니블레어 전 영국 수상에게 학교급식을 위한 재정지원을 제의해 한때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제이미 올리버의 학교급식 프로젝트 이후 영국 내 급식에서 질 나쁜 육류나 열량 높은 탄산음료, 튀김, 초콜릿, 사탕이 사라졌다. 식사 때마다 2가지 이상의 과일과 야채를 주기 시작했다.

정크 푸드의 자판기판매가 학교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대신 우유, 주스, 요거트 같은 건강간식판매가 장려되기 시작했다. 

이후 영국에선 ‘아이들을 정크 푸드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우려의 소리가 나왔다. 각 방송사들도 서둘러 영국 스타요리사들을 초청, 관련방송 프로그램을 만들기 시작했다. 영국국민들 또한 건강하게 잘 먹고 잘 사는 법 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졌다.


3. 정크 푸드 광고제약과 관련다큐멘터리 방영

2004년 영국 정보통신회사인 오브컴 조사에 따르면 부모 및 보육교사 81%가 정크 푸드 광고의 규제강화를 지지했다. 2006년 유럽 내 비만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로 뽑힌 영국은 ‘유럽 전역에서 가장 나쁜 음식을 갖고 있는 나라’란 식품감시위원장 경고장을 받는 등 불명예를 안았다. 식품기준청(Food Standards Agency) 의장 디어드레 휴톤(Deirdre Hutton)은 “영국사회에서 영양학적으로 좋지 않은 음식을 먹고 있다. 식품에 대한 문제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강도 높게 지적을 했다.

정크 푸드 광고에 대한 규제를 더 엄격하게 해 오후 9시 이후에만 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건의도 나오고 있다.

방송에선 햄버거, 피자, 콜라, 도넛 등 이른바 정크 푸드에 중독된 이들을 다룬 ‘수퍼스키니와 수퍼웨이트(Super Skinny and Super weight), 당신 자신은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결정된다.(You are what you eat) 등과 같은 경고성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시작했다.


4. 로컬푸드운동과 왕실의 노력

영국의 많은 소비자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먹거리를 자주 찾는다. 그래서 그들은 큰 장이 열리든 작은 장이 열리든 지역장을 자주 찾는다. 해외에서 들여온 상품들의 패킹처리과정에서 생기는 유해물질 피해를 줄이고 질과 영양분이 뛰어나고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먹고 사는 문제가 그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고 지역을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그들은 ‘지역 먹거리(Local Food)'운동을 열렬히 지지한다.

이밖에도 영국에서 각 영양소마다 하루섭취량을 나열하는 신호등식 ’양심적 성분표시(Clear Food Labelling)‘운동도 일고 있다. 왕실에서도 왕실이 갖고 있는 영지에서 재배한 유기농식품들을 슈퍼마켓을 통해 유통하고 있다. 국민과 함께 왕실도 먹거리에 대해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