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도 너무 비싼 5G 요금제, 당황하는 소비자들

대부분 단종되어버린 LTE 모델들... 5G 요금제 강제사용은 덤 일정기간 비싼 요금제를 유지해야 한다면 가격의 조정이 필요해

2021-02-26     이준호 소비자기자
출처

[소비라이프/이준호 소비자기자] 소비자들은 휴대폰을 구매할 때 ‘6개월간 해당 요금제를 유지해주세요’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휴대폰 판매장을 둘러보면 LTE 모델들은 거의 보이지 않고 5G 모델들만 보인다. 비싼 5G 요금제를 강제로 사용해야 하는 소비자들은 난감할 수밖에 없다.

휴대폰 24개월 약정이 종료되자 L 씨는 매장에 들려 평소 사용하고 싶었던 휴대폰 가격을 물었고 85,000원의 요금제를 기본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외출 시 휴대폰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 기존에도 비싼 LTE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던 L 씨는 당황했다. 기기 값을 24개월간 할부로 낸다고 하더라도 85,000원의 요금제를 사용하면 월 통신요금은 10만 원을 훌쩍 넘는다. 5G 모델이 아닌 LTE 모델의 구매의사를 밝혔지만, 매장으로부터 돌아온 답변은 "대부분 단종됐다"라는 답변이었다.

이런 비싼 5G 요금제를 피해 휴대폰을 구매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을 본인이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는 ‘자급제 시스템’은 비싼 5G 요금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자급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일반 휴대폰 판매장에서 구매할 때 받을 수 있는 공시지원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일반 휴대폰 판매장에서 구매할 때 공시지원금이 많지 않은 특정 모델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는 ‘자급제 시스템’이 효율적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모델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자급제 시스템’은 선택 시 기기 값 전부를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소비자 A 씨는 "자급제로 휴대폰을 구매하자니 기기 값이 부담스럽고, 매장에서 구매하자니 월 통신요금이 부담스럽다"며 고민하는 모습을 보였다.

‘6개월간 요금 강제 시스템’은 5G 모델이 출시된 이후로 생긴 시스템은 아니다. 과거 LTE 모델이 대부분 시장을 점유하고 있을 때도 해당 시스템은 존재했다. 소비자가 납부하는 요금의 일정 %를 수익으로 가져가는 것이 휴대폰 판매장의 수익구조이다. 때문에 6개월간 비싼 요금제를 강제로 사용하게 한다면 그만큼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LTE 모델 선택 시 강제됐던 6개월간의 요금제와 5G 모델 선택 시의 6개월간의 요금제는 가격 차이가 상당하다는 것이 소비자 입장에서 고려되는 문제이다.

그뿐만 아니라, 휴대폰 구매 시 ‘비싼 5G 요금제'라는 강제성이 적용되는 것을 수용할 만큼 소비자의 5G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 및 여론조사업체의 자료로는 5G 소비자 만족도가 30%밖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LTE 기지국이 80만 개인 것에 비하여 5G 기지국은 10만 개에 불과해 소비자들이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근 휴대폰을 5G 모델로 바꾸며 통화에 문제가 생겨 이동통신사에서 130만 원가량을 배상하고 이 사건과 관련해 100여만 명의 소비자들이 집단소송을 준비하는 것 또한 5G의 불편함을 뒷받침해준다.

이렇게 소비자의 5G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만큼, 휴대폰 교체 시 요금제에 강제성을 부과해야 한다면 가격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소비자의 입장이다. 월 10만 원이 넘는 통신요금 때문에 고민하던 소비자 L 씨는 "강제되는 요금제의 가격이 LTE 요금제의 가격보다 비싸야 하는 것은 맞지만, 가격차이가 너무 큰 것 같다"라고 했다. 휴대폰 구매 시 강제로 5G 요금제를 내야 하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문제를 고려한 이동통신사의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