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지속된 화웨이 압박, 우리 정부는?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에서 중국 배제한 '클린네트워크' 언급 우리 정부는 민간이 결정할 일이라며 중도 입장 고수

2020-10-21     윤채현 소비자기자

[소비라이프/윤채현 소비자기자] 지난 14일 제5차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SED)에서 미국은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을 배제하는 '클린 네트워크'를 언급했고, 우리 정부는 중국 배제 여부는 민간의 결정에 달려 있다며 기존의 중도 입장을 유지했다. 미국의 클린 네트워크 동참 압박이 시작되면서, 미중 갈등 속 우리 정부의 외교적 스탠스의 향방이 주목된다.

출처

미국이 경제협의회에서 발표한 '클린 네트워크(Clean Network)'는 5G 통신망, 모바일 앱, 클라우드 컴퓨터 등에서 중국 기업인 화웨이와 ZTE(중흥통신) 등의 제품을 퇴출시키고자 하는 정책으로서, 미국이 이전부터 주장해 온 것이다. 미 국무부는 지난 16일(현지시간)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의 결과에 대한 참고자료를 언론에 발표했다. 미국은 이 자료에서 "한국이 자국의 국가안보를 위해 클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은 "우리나라 이동통신 사업자가 특정 업체를 배제하느냐 안 하느냐의 문제는 민간 기업이 결정할 사항"이라며 기존의 중도적 입장을 고수했다. 클린 네트워크 참여 여부에 관해서도 아직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유보적 입장을 취했다. 이처럼 우리 정부는 미국과 중국 사이 줄타기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한편 클린 네트워크에 참여할 것 같았던 일본이 동참에 유보적인 입장을 표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미국이 유럽의 동맹국들 외에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에도 화웨이·ZTE 배제를 요구하여, 미중갈등은 더욱 첨예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화웨이 규제에 동참할 경우, 국내 기업들로서는 주요 고객을 잃어버리는 셈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에서 화웨이가 차지하는 부분이 도합 약 10조 원에 달한다. 클린 네트워크에 동참 시 반도체 수출길이 막힐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화웨이 규제 동참의 긍정적 영향을 시사하는 견해도 있다. 삼성 등 국내 기업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으며, 화웨이가 네트워크에서 배제되더라도 샤오미, 오포 등 부품 구매처가 있기 때문에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곧 치뤄질 미국 대선에서 누가 승리하느냐와 관계 없이 미중 갈등은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정부도 더이상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가 아닌 분명한 외교적 스탠스를 취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