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적자시대, 대형마트 의무 휴업 정책은 여전히 타당한가?

온라인 쇼핑 상승세로 인해 대형마트 매출액 감소추세, 소비패턴 변화 고려한 정책 마련 시급해...

2019-10-24     김대원 인턴기자
사진:

[소비라이프/김대원 인턴기자] 최근 들어 소비패턴의 양상이 오프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으로 넘어가는 흐름에 있다 보니 한 때 유통업계의 강자로 불리던 대형마트들도 매출액이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대형마트 월 2회 의무 휴업' 규제 발목에 잡힌 채로 이렇다 할 매출 확대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행 조사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 중에서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사용한 금액은 일 평균 2,464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23%가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을 합친 종합소매 부문에서 사용한 금액은 2,203억 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소비자가 보다 편리한 소비를 추구하기 위해 소비 패턴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는 결과이다. 

이 때문에 대형마트 측에서는 현재 지속되고 있는 '월 2회 의무 휴업' 제도에 대해 상당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2년 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실시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의 소비 패턴 조사' 결과 응답자의 약 28%가 '소비를 하지 않는다.' 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형마트 의무 휴업 정책에 대한 실효성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현재 유통업계의 새로운 강자가 '온라인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대형마트에 대해서만 가혹한 규제 정책을 가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일각에서는 현재 경기불황으로 인해 유통업계가 전반적으로 침체 상황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시장'만을 살리자는 취지에서 시행하는 규제정책은 의미가 없다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온라인 쇼핑이 성장하는 상황 속에서 오프라인 시장도 오히려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존의 유통업계에 대한 규제를 전면적으로 철폐해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대한상의에서는 "이미 유통업의 경제성장 기여율이 10년 전에 비해 반토막이 난 데다 오프라인 시장에서의 소비 침체 등의 요인 등으로 인해 전통시장만 살리겠다는 차원에서의 규제는 의미가 없다."라는 말과 함께,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전통시장 각각 경쟁력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라고 주장하면서 편리한 소비를 원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맞게 오프라인 시장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해 줄 것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