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1:51 (목)
희귀철새 쇠개개비 이동경로 찾았다
상태바
희귀철새 쇠개개비 이동경로 찾았다
  • 성산
  • 승인 2013.10.30 16: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 철새연구센터는 일본에서 가락지를 부착해 날려보낸 쇠개개비를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재포획 해 이동경로를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쇠개개비(영명 : Black-browed Reed Warbler)는 중국 북동부, 사할린, 일본 등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태국, 미얀마 등에서 월동하는 13cm 정도의 소형조류로, 주로 덤불이나 갈대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관찰이 어렵고, 국내는 드물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강원도 등 극히 일부에서 번식하는 일부 여름철새다.

이번에 발견된 쇠개개비는 올해 9월 29일 일본 톳토리현 도하쿠군에서 가락지를 부착해 날려보낸 뒤 15일 후인 10월 13일 전남 신안군 흑산도에서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가락지부착조사는 새를 포획해 일련번호가 새겨진 금속가락지를 부착해서 날려 보낸 후 재포획 해 이동경로를 조사하는 오래된 조류연구 방법으로 비용이 적게 드는 것이 장점이나, 가락지를 부착한 새를 다시 발견한 확률이 극히 낮은 것이 단점이다.

일본의 경우 1961~1995년까지 35년간 총 239만 마리에 가락지를 부착했지만 이번처럼 국외에서 재발견된 비율은 0.09%에 해당하는 2,250개체에 불과하다. 쇠개개비는 2006년에도 일본에서 날려 보낸 것이 우리나라에서 재발견된 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가락지 조사연구는 2005년 홍도·흑산도에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가 만들어진 이후 시작됐으며 센터에서는 지금까지 4만 3,000마리에 가락지를 부착했다.

권영수 국립공원관리공단 철새연구센터장은 “철새 이동경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철새보호를 위해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재발견 확률이 낮지만 많은 장점들이 있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라며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가락지부착 사업이 활발하지 못한데 외국처럼 좀 더 많은 규모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