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금융의 질풍노도] 홍콩의 혼란, 한국 금융에 기회될까?
상태바
[금융의 질풍노도] 홍콩의 혼란, 한국 금융에 기회될까?
  • 이강희 칼럼니스트
  • 승인 2020.06.18 1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보안법으로 인해 홍콩의 경제 투명성과 시민의 자유가 보장받지 못하면서 성장성에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

[소비라이프/이강희 칼럼니스트]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지난 5월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제13기 3차 전체회의에서 ‘홍콩국가보안법’ 초안을 압도적인 표 차이로 의결한다. 이번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으로 홍콩인에 대한 기본적인 자유가 박탈될 거라고 보는 시각들이 많다. 문제는 이런 정치적인 문제가 다른 분야에까지 파급력이 있다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는 법안 통과 직후 1992년에 ‘홍콩정책법’이 제정되면서 중국본토와 다르게 홍콩에 대해서 무역과 관련된 관세나 투자를 비롯해 비자발급까지 그동안 최혜국 대우를 해왔지만, 이러한 특별지위를 철폐하겠다고 밝혔다. 이후에도 G7 외교장관들이 공동성명으로 홍콩보안법이 일국양제 원칙뿐만 아니라 홍콩 자치를 심각하게 훼손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하고 중국 정부가 재고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렇게 서방세계의 지도자들이 홍콩에 대한 의견들을 내놓으며 중국 정부를 압박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홍콩은 역사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아시아의 금융허브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러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이후에는 그동안  홍콩이 누려왔던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도 흔들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투자자를 비롯한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새로운 투자처를 찾고 있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보안법으로 인해 홍콩의 경제가 투명성과 시민의 자유가 보장받지 못하면서 성장성에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에 새로운 투자처로 홍콩과 거리가 멀지 않고 문화적으로 유사한 대만과 정부가 앞장서서 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정책을 펼쳐왔던 싱가포르가 주목을 받고 있다. 싱가포르는 이미 동남아에서 금융 분야에 견고한 위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코로나19 사태’에 잘 대응하며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대한민국은 없다. 제조업의 발달로 뛰어난 경제발전을 이루었지만, 금융 분야에 있어 아직은 많은 부분이 세계적인 수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제도적인 규제에 대한 언급이 많다. 그중에서 가장 많은 언급은 헤지펀드에 대한 부분이다. 금융 분야에서 가장 많은 성과를 내는 헤지펀드에 대해 금융업계의 관심이 높기 때문이다.
 
동아시아 불어온 홍콩의 혼란은 금융 산업에 있어 다른 나라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 기회를 쥘 수 있는 범주 안에는 우리나라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때에 국회의 정무위원회가 빨리 위원회 구성을 마무리하고 금융 분야를 책임지는 정부 부처인 금융위원회와 함께 이러한 기회를 대한민국에 유리하게 만들어가는 지혜를 내놓아야 한다. 우리나라를 지금 당장 홍콩을 대신할 정도의 금융 허브로 만들기는 어려울 수 있다. 그렇지만 금융허브로 가기 위한 ‘틀’을 구축할 기회를 만들 수는 있을 것이다.

이강희 칼럼니스트
이강희 칼럼니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