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5:17 (화)
[금융의 질풍노도]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언론과 감독기관의 순기능
상태바
[금융의 질풍노도]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언론과 감독기관의 순기능
  • 이강희 칼럼니스트
  • 승인 2020.03.09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결방안은 제안하지 않더라도 여러 곳의 의견을 보도하며 해결방법에 대해 소개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소비라이프/이강희 칼럼니스트] 국민이 금융을 접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언론을 통한 금융 관련 기사들이다. 그래서 금융기사들은 신속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정확성과 중립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요즘의 언론의 기사들은 어디서 먼저 보도하냐를 따지는 신속성을 중요시하다 보니 내용의 정확성은 나중으로 미뤄지게 된다. 그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독자들이 받게 된다. 
 
그에 대한 예시가 될 만한 상황이 바로 사모펀드에 관한 최근 기사들이다. 문제가 되는 라임의 헤지펀드 기사들은 자본의 순기능을 담당하는 PEF에 대해서까지 오해를 불러오고 있다. 성급한 대응을 하는 금융회사들도 큰 틀보다는 5~6조 규모를 가진 라임이라는 회사 하나에 대한 상황을 400조 헤지펀드 시장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통해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 

그렇게 반응하는 이유는 철학이 없어서다. TRS를 제공하는 철학 없이 돈이 되는 것에는 무조건 달려드는 자본주의의 속성에 젖다 보니 큰 그림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헤지펀드 시장에 있는 190여 개 운용사에서 운용하는 자금은 400여조 원으로 그중에 TRS를 사용하며 증권회사로부터 자금이 유입된 회사와 규모는 19개사 1조 9천억 정도다. 물론 1조 9천억이 적은 금액은 아니나 그 정도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렇게 크지 않다. 그런데도 금감원, 금융회사, 언론사들은 너무나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시장전체에 대해 불신을 일으킬 수 있는 보도와 행동, 자세, 시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들은 상황을 해결하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사실을 보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결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서 언급하는 언론사는 없는 듯하다. 오히려 ‘소송’과 같은 자극적인 대응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 해결방법 중에 하나로 흘러나오는 상각이 얼마나 큰 문제점을 안고 있는지에 대해 언급하는 언론도 많지 않다. 
 
어차피 저금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우리 국민은 은행의 예·적금 이외의 다른 투자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그럴 때마다 사람들은 지금의 헤지펀드나 P2P 외에도 다양한 투자처를 바라볼 것이고 그 외의 투자처도 계속 증가할 것이다. 그렇다고 마냥 최소가입금액을 늘릴 수는 없다. 운용자산의 부실이 발생하면 1인당 투자금에 대한 손실이 너무 크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가입을 어렵게 하려고 최소가입금액을 높이기보다는 오히려 최소가입금액을 낮춰서 운용자산의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손실금액을 크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결방안은 제안하지 않더라도 여러 곳의 의견을 보도하며 해결방법에 대해 소개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번 일을 계기로 금융 문제에 대응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불안한 상황을 조장할게 아니라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모든 관련 기관과 관련 업무자들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강희 칼럼니스트
이강희 칼럼니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